본문 바로가기

전기필기시험

Part5 수,변전설비의 기기 / 차단기 및 개폐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변전설비기기 중 차단기와 개폐기에 대해 알아볼께요

물론 전기기능장 시험에는 그중 일부만이 출제되지만

수변전설비 기기들은 하나하나 알아 두는 것도 도움이 되거든요

사실 이쪽 업계에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저를 위한 포스팅이기도 하니 많이 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시작 할께요

 

1. 유입차단기(OCB)

아크를 절연유의 소호작용에 의하여 소호하는 구조

다른 종류의 차단기에 비해 차단성능, 보수면이 불리함

가격이 저렴하고 넓은 전압 범위에 적용할수 있다는 장점

하지만 기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어

최근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2. 자기차단기(MBB)

아크와 직각으로 자기장을 주어 소호실 안에 아크를 밀어넣고

아크 전압을 증대시키고 냉각하여 소호작용을 함

고압 전로에 많이 사용되지만

소호 능력 면에서 특고압에는 적당하지 않다 합니다

단, 화재의 염려가 없고 보수가 간단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네요

 

3. 공기차단기(ABB)

개방 할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아크를

강력한 압축공기로 소호하는 방식

소호능력이 변하지 않고 일정한 소호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화재의 위험성이 작고 차단 능력이 뛰어남

유지 보수에 용이하지만

별도의 압축 공기를 위한 부대 설비가 필요하다네요

 

4. 진공차단기(VCB)

진공상태에서 높은 절연내력과 아크 생성물이 급속한 확산을

이용하여 소호하는 구조

매우 높은 절연내역을 가지고 있으며 소형이고 가볍다는 장점

기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도 없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동작시 높은 서지 전압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5. 가스차단기(GCB)

절연 능력과 소호 능력이 뛰어난 불활성 가스인

SF6 가스를 이용한 차단기로

개폐시에 발생한 아크를 가스로 분사하여 소호하는 방식

보수 점검 횟수와 소음이 적고 차단서이 좋지만

고가라는 단점

설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대부분 초고압 계통의

차단기로 많이 사용되다고 합니다.

 

6. 기중차단기(ACB)

지금 나오는 차단기들 중에 가장 많이 들어본

ACB 차단기

 

자연 공기 내에서 회로를 개방할 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자연 소호되는 방식을 가진 차단기로

저압의 교류 또는 직류 차단기로 많이 사용됩니다.

 

차단기의 종류는 여기 까지 이구요

 

이번에는 개폐기의 종류를 알아 보실까요?

 

1. 자동고장구분 개폐기 (ASS)

수용가 구내에서 지락, 단락사고시 즉시 분리하여 사고의 확산을 방지

구내설비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개폐기 입니다.

 

2. 자동부하전환 개폐기 (ALTS)

22.9 [kVA] 접지 계통의 지중배전 선로에 사용되는 개폐기로

중요시설 수용가에서 이중 전원을 확보

주전원 정전시 예비 전원으로 자동 전환 되어

무정전 전원을 공급하는 개폐기 입니다.

 

3.  선로 개폐기(LS)

보안상의 책임 분계점에서 보수 점검시 전로를 구분하기 위하여

선로 개폐기를 시설 하나

최근 내선규정에 따라 22.9 [kVA-Y]의 자기용 수전변 설비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하네요

최근에는 LS 대신 ASS를 사용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4. 부하 개폐기 (LBS)

수변전실 설비의 인입구 개폐기로 고압 전로에 사용하는

통상상태에서는 전류를 개폐할수 있고

그 전로가 단락 상태가 되어 이상 전류가 투입되면

규정 시간동안 통전할 수 있는 개폐기 입니다.

설제로 사용할 때는 전력 퓨즈를 부착하여 사용하네요

 

5. 기중부하 개폐기(IS)

22.9 [kVA-Y] 가공배전 선로 및 수용가 인입구 개폐기

수전용량 300[kVA] 이하에서 선로 개폐기 대신 사용합니다.

 

이렇게 수,변전실설비에 들어가는 기기들을

2번의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그럼 이런 기기들이

전기 기능장 필기 시험에서는 어떻게 출제 되었는지

포스팅 해 보도록 할께요